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백준알고리즘
- 리액트
- react
- Algorithm
- 동적프로그래밍
- java
- sort
- 완전탐색
- 브루트포스
- 백준
- ELB
- AWS
- 라우터
- 자료구조
- url parsing
- 서버구축
- spring
- 토이프로젝트
- Router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
- mysql
- 정렬
- nodejs
- 스터디
- 탐욕법
- 알고리즘
- BFS
- EventListener
- Spring Boot
- EC2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post (1)
공부하는 블로그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kofNG/btqAyygV1lc/dPy8tGOx1FuBF2I8gzsRK1/img.jpg)
GET과 POST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무언가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. Node.js에서 GET과 POST 방식 요청에 응답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 GET GET 방식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설계된 메소드이다. GET은 요청을 전송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Body에 담지 않고 URL의 Query String을 통해 전송된다. 따라서 URL에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데이터를 숨겨서 전달해야 될 경우(ex. 로그인 시 회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)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. GET 요청은 URL의 Query String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URL 모듈을 이용하여 URL을 파싱하면 손쉽게 전송된 데이터을 얻을 수 있다. 아래는 URL parsing에 관한 ..
Node.js
2019. 12. 17. 23:53